비만클리닉
강한욱 키즈업 아동병원의 비만클리닉을 안내합니다.
그러면 운동을 하고 식이조절을 해서 살을 빼야 합니다. 이것은 ‘흑색가시세포증' 이라고 해서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이 시작된다고 몸에서 알리는 신호입니다 소아 비만은 체 질량지수로 비만여부를 판정하는대 95백분위 이상을 비 만 85~95를 과체중이라고 하며. 5.5세 전후로는 체질량 지수가 가장 낮은 시기라서 비만을 모르고 지나치기 쉬우 니 반드시 성장도표로 비교해보아야 합니다.
11세 이하에서 과체중 이상이면서 합병증이 보이기 시작하거나. 12세 이상에서 합병증이 없 더라도 비만이면 체중 감량을 해야 하며, 여가에 해당하지 않는 아이는 체정량 지수가 85백분 위 아래로 되도록 하면 딥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키성장을 하기 때문에 성인과 달리 생각보다 적은 체중 감량으로도 많은 호전을 보입니다
1. 운동을 해야 합니다. 첫째. 운동을 하면 체중이 빠지면서 혹색가시세포증도 좋아지고 합병증도 없어집니다. 둘째,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면서 키성장을 촉진시키고 체질량도 더욱 더 감소됩니다. 셋째. 신경세포성장인자분비의 촉진으로 기억력·집중력·인지력·학습능력이 향상됩니다. 넷째. 성취감을 통하여 자존감이 향상되며. 우울증도 종이지며 정신이 건강해집니다. 다섯째. 근육량의 증가로. 향후 같은 양을 먹어도 살이 더 찌게 되는 요요를 방지해줍니다. ※ 운동은 재미있는 운동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양과 강도를 높입니다. ※ 최소 주 5회 이상의 운동으로 습관을 길러주어야 하고, 3번은 격렬하게 운동을 합니다. 2. 식이요법을 해야 합니다. (신호등 다이어트) 녹색등(우세한): 채소. 과일(저칼로리. 저지방. 고성유소. 고영앙) 노란등(조절): 근육고기. 유제품. 곡류(고영앙이나 열량과 지방이 좀 더 많은 식품) 빨간등(금기): 서빙고시. 설팅, 튀긴 음식(열량. 설팅, 지방이 많은 음식) ※ 음식선호도는 4~8세에 굳어지으로 가족과 함께 식사하며 부모가 먼저 모범을 보입니다. ※ 미국소아과학회에서는 2세가 지나면 저지방 또는 무지방 우유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 당지수가 낮은 음식은 체중감소에 효과는 크지 않으나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킵니다. 3. 행동교정을 해야 합니다 가족이 바뀌지 않으면 아이도 바뀌지 않습니다! 첫째. 스크린타임(스마트폰. 컴퓨터 게임. TV시청 등)을 두 시간 이내로 제한합니다. 둘째, 아침식사를 꼭하고, 식사할 때는 20분 이상 천천히 먹도록 합니다. 셋째. 일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특히 집에서 가족과 함께 먹는 습관을 기르도록 합니다. 넷째. 식사 중에는 식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장난감·TV·게임기 등을 치웁니다. 다섯째. 일상생활에서의 활동량을 늘리도록 합니다. (심부름하기 . 가까운 곳 걷가 등.) 여섯째. 적정 수면시간 유지-수면부족이 식욕촉진 및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합니다.
소아는 성인과 달리 신체에 불균형적인 비만이 적어 체질량 지수만으로도 비만의 정도 를 충분히 살 나타내며. 따라서 나이에 따른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비만을 판정합니다.
1. 동기 유지 운동을 함으로써 자신의 신체와 두뇌에 바만치료중이라는 것을 주기적으로 각인시켜주어야 합니다. 2. 운동 습관 습관 되지 않은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또 다 른 정신적인 에너지가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운동 습관 을 길러주어야 합니다. 3. 운동 교육· 아직 운동에 익숙해지지 않은 아이들에게 적절한 운동방법과 효과 등에 대하여 이해시켜줍니다. 4. 성장 촉진 운동을 하면 성장에 필요한 성장호르몬의 분 비가 증가되어 기성장을 촉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