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강한욱 키즈업 아동병원
  • 진료분야
  • 비만클리닉
  • 진료분야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비만클리닉

    강한욱 키즈업 아동병원의 비만클리닉을 안내합니다.

    소아 비만, 문제와 치료

    • 01

      우리 아이는 이렇지 않나요?

      그러면 운동을 하고 식이조절을 해서 살을 빼야 합니다. 이것은 ‘흑색가시세포증' 이라고 해서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이 시작된다고 몸에서 알리는 신호입니다 소아 비만은 체 질량지수로 비만여부를 판정하는대 95백분위 이상을 비 만 85~95를 과체중이라고 하며. 5.5세 전후로는 체질량 지수가 가장 낮은 시기라서 비만을 모르고 지나치기 쉬우 니 반드시 성장도표로 비교해보아야 합니다.

    • 02

      우리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1세 이하에서 과체중 이상이면서 합병증이 보이기 시작하거나. 12세 이상에서 합병증이 없 더라도 비만이면 체중 감량을 해야 하며, 여가에 해당하지 않는 아이는 체정량 지수가 85백분 위 아래로 되도록 하면 딥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키성장을 하기 때문에 성인과 달리 생각보다 적은 체중 감량으로도 많은 호전을 보입니다

    • 03

      체질량 감소를 위해서 어떻게 하나요?

      1. 운동을 해야 합니다.
      첫째. 운동을 하면 체중이 빠지면서 혹색가시세포증도 좋아지고 합병증도 없어집니다.
      둘째,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면서 키성장을 촉진시키고 체질량도 더욱 더 감소됩니다.
      셋째. 신경세포성장인자분비의 촉진으로 기억력·집중력·인지력·학습능력이 향상됩니다.
      넷째. 성취감을 통하여 자존감이 향상되며. 우울증도 종이지며 정신이 건강해집니다.
      다섯째. 근육량의 증가로. 향후 같은 양을 먹어도 살이 더 찌게 되는 요요를 방지해줍니다.

      ※ 운동은 재미있는 운동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양과 강도를 높입니다.
      ※ 최소 주 5회 이상의 운동으로 습관을 길러주어야 하고, 3번은 격렬하게 운동을 합니다.

      2. 식이요법을 해야 합니다. (신호등 다이어트)
      녹색등(우세한): 채소. 과일(저칼로리. 저지방. 고성유소. 고영앙)
      노란등(조절): 근육고기. 유제품. 곡류(고영앙이나 열량과 지방이 좀 더 많은 식품)
      빨간등(금기): 서빙고시. 설팅, 튀긴 음식(열량. 설팅, 지방이 많은 음식)

      ※ 음식선호도는 4~8세에 굳어지으로 가족과 함께 식사하며 부모가 먼저 모범을 보입니다.
      ※ 미국소아과학회에서는 2세가 지나면 저지방 또는 무지방 우유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 당지수가 낮은 음식은 체중감소에 효과는 크지 않으나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킵니다.

      3. 행동교정을 해야 합니다
      가족이 바뀌지 않으면 아이도 바뀌지 않습니다!
      첫째. 스크린타임(스마트폰. 컴퓨터 게임. TV시청 등)을 두 시간 이내로 제한합니다.
      둘째, 아침식사를 꼭하고, 식사할 때는 20분 이상 천천히 먹도록 합니다.
      셋째. 일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특히 집에서 가족과 함께 먹는 습관을 기르도록 합니다.
      넷째. 식사 중에는 식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장난감·TV·게임기 등을 치웁니다.
      다섯째. 일상생활에서의 활동량을 늘리도록 합니다. (심부름하기 . 가까운 곳 걷가 등.)
      여섯째. 적정 수면시간 유지-수면부족이 식욕촉진 및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합니다.

    소아 비만과 운동

    • 01

      체질량 지수가 비만의 척도인가?

      소아는 성인과 달리 신체에 불균형적인 비만이 적어 체질량 지수만으로도 비만의 정도 를 충분히 살 나타내며. 따라서 나이에 따른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비만을 판정합니다.

    • 02

      왜 운동을 해야 하는가?

      1. 동기 유지 운동을 함으로써 자신의 신체와 두뇌에 바만치료중이라는 것을 주기적으로 각인시켜주어야 합니다.
      2. 운동 습관 습관 되지 않은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또 다 른 정신적인 에너지가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운동 습관 을 길러주어야 합니다.
      3. 운동 교육· 아직 운동에 익숙해지지 않은 아이들에게 적절한 운동방법과 효과 등에 대하여 이해시켜줍니다.
      4. 성장 촉진 운동을 하면 성장에 필요한 성장호르몬의 분 비가 증가되어 기성장을 촉진합니다.